카테고리 없음

SAT Math 문제 만점 비결? 영재 교육 전문가 이상복 교수 강남대

SangBokLee 2007. 7. 5. 23:33

SAT Math 문제: 이상복 교수 강남대

 

@@출처: 이상복 저. 기독교 상담학, 1, 2. 강남대학교 출판사. 2006

 

‣ 예문: 고등학교 동창인 A와 B 두 친구 중, A는 LA에 위치한 UCLA에 입학했고 B는 보스턴에 위치한 MIT에 진학하여 한 학기를 마치고 여름방학동안 시카고에서 정해진 시간에 만나기 위해 자동차를 타고 올 때, 시카고에서 각각의 도시까지 떨어진 거리가 주어지고 A의 속도가 주어질 때, B는 얼마만큼의 속도로 운전해야 제 시간에 도착할 수 있겠는가? (단, A는 LA에서 B보다 3시간 늦게 출발하여 덴버에서 한 시간 쉬고 온다고 가정하자)

  

  이와 같이 이미 배우고 알고 있는 수학개념이라도 새로운 상황 속에 응용하려 할 때는 적용하는 능력이 매우 떨어진다는 교육적인 진단을 내릴 수 있겠다. 또한 전통적이고 일반적인 수학교육이 문제해결을 위한 독창적이고 창의적인 제3의 방법을 모색하거나 구체적인 사례들로부터 원리를 발견해 내는 능력을 길러 주는데 소홀했다는 점을 지적할 수 있겠다. 그리고 학생들이 너무 계산기에 의존하고 있다는 점도 무시할 수 없다.

 

계산기로 해결할 수 없는 수학 문제들이 상당히 많다. 계산기는 본인이 문제의 핵심을 파악하고 수학적인 공식을 나름대로 찾아내서 마지막으로 계산을 할 때 필요한 것인데 많은 학생들의 나쁜 습관중의 하나가 문제를 이해하고 독창적으로 생각하기도 전에 먼저 계산기에 손을 얹는 경우가 많다는 점이다. 이런 경우에 기초적인 Algebra 나 Geometry 개념들을 또 다른 시각에서 그려보거나 상상해보는 능력, 즉 창의적이고 시각화하는 능력이 결여되기 쉽다.

 

실제로 SAT 수학 시험의 경우 70-80%는 응용문제로 구성되어져 있다. 어떻게 보면 초등학교부터 단순한 계산문제보다는 응용문제 중심으로 문제를 푸는 법을 익히고 생각하는 능력을 길러주는 교육이 우선되어야 할 것이다.

 

  상위권 학생들도 대체로 기초실력은 잘 갖추어져 있지만 응용문제에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었기 때문에 특별히 그 영역에 많은 도움을 필요로 했다. 본인이 추천하고 싶은 것은 현재 수학지식의 정도와 능력을 정확히 평가한 후 체계적인 계획을 세워서 보다 독창적이고 실용적인 방향으로 교육을 시켜야하고 고득점 획득을 위해서는 길게는 1-2년 짧게는 6개월 정도 집중적으로 준비를 해야만 된다는 것이다.

 

학교에서 미리 Algebra 와 Geometry에서 좋은 학교 성적을 받아도 안심해서는 안 되고 SAT 중심으로 교육평가를 받아서 장기적인 계획과 진학계획을 세우지 않으면 고학년이 되어서는 학교공부의 과중한 스트레스로 SAT 준비에 상당한 시간이 걸리게 되고 목표하는 대학이나 전공과목을 선택하기가 어렵게 된다.

 

@@SAT 조기 영재교육 문의: 이상복 박사 brainwork28@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