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대 이상복 교수 초청 특별 강의 | |||
주최 사)한국문인협회 음성지부 | |||
| |||
| |||
사)한국문인협회 음성지부(지부장 이석문)에서는 지난 5월23일 음성읍 사무소 3층 회의실에서 강남대학교 이상복 교수를 초청하여 “독서치료 관점에서 본 화병의 원인과 치료에 대한 강의”를 들었다. 사람과 사람의 관계유지를 하다보면 피치못하게 찾아오는 불협화음과 갈등이 야기되고 이것을 억누르고 참다보면 화병이 발생하여 자신의 건강을 해치는 경우가 발생할수 있다. 이번 강의는 고향 주민들을 위해 이상복 교수가 사)한국문인협회 음성지부의 의견을 수렴하여 무료로 강의에 참여해줬다. 이번 특강은 음성가정폭력상담소와 음성신문사의 후원으로 개최하게 됐다. 이에 본보에서는 이상복 교수의 특강 내용을 개략적으로 정리해 소개해 보았다. - 편집자 주 -
□ 이상복 교수 프로파일
·현. 강남대학교 상담학 교수, 한국 상담전문가연합회 운영위원 및 기획총무 ·현.한국 독서치료학회 이사 겸 국제관계위원회 위원장
□ 교육배경 및 저서 ·미국, 노스웨스턴 대학교 박사 Ph. D.(상담심리학)(1994년) ·노스웨스턴 의과대학 가족치료 포스트 닥 2년 수료 (가족치료자격증) ·서울대 보건대학원 의료정책과정 수료
·노스웨스턴 대학교 교육 및 사회정책대학원 교수 역임 (상담심리학) ·시카고 의과대학 임상심리학 외래 교수 역임 ·강남대학교 교육과정 위원역임 ·미국, 켄들대학교 영어학부 학장역임 ·미국, 내셔널루이스대학교 경영대학원 영어학부 학장역임 ·미국, 크레어몬트 대학원 교환교수 ·미국, 마크 커크 미연방하원의원 자문위원 겸 통역관 ·저서: 「기독교 상담학 I, II」 강남대 출판사(2006) <통합절충 가족치료> (강남대출판사 2007) <환경신학>(UCN, 2005: 역서) ※ 음성중학교, 청주고등학교 졸업
□ 학술 및 사회봉사 ·현, 한국가족치료아카데미 소장 ·현, 한국 상담전문가연합회 운영위원 및 기획총무 ·현, 수원지방법원 이혼상담위원회 기획총무 및 상담위원 ·현, 미국심리학회(APA)임상회원, 가족심리학(Family Psychology)분과정회원 미국종교학회, 미국인지과학회 정회원 ·현, 한국목회상담협회 감독, 홍보위원장, <목회와 상담> 부 편집위원장 ·현, 한국 독서치료학회 이사 겸 국제관계위원회 위원장 ·현, 성남 여성의 전화 자문위원 ·현, 한국 성경적 상담학회 이사 겸 편집위원 ·현, 한기총 임원 ·현, 국제전문저널(SSCI급) 이사 겸 심사 편집위원 (심리학 분야 5개 저널)
□ 화병의 정의
미국 정신의학회는 1995년 홧병이라는 우리말 용어를 정신의학 용어로 공식 등록하면서 ‘한국 민속증후원의 하나인 분노 증후군으로 설명되며 분노의 억제로 발생한“고 설명하고 있다. 화병(火病)은 부정적인 화나는 감정들을 표현하거나 풀지않고 오랫동안 쌓아 놓음으로써 많이 발생한다. 여기에서 말하는 화(火)는 매일 생기는 사소한 사건들이 아니라 개인의 일생을 바꾸어 놓을만한 큰 문제들에서 생기는 것을 말한다.
□ 화병의 원인
화병의 생기는 원인은 남성과 여성의 경우가 다른면을 보여주고 있다. 여성의 경우는 대개 남편과의 갈등,남편의 학대나 폭행,남편의 도박,시댁과의 갈등,고부간의 갈등,자녀문제등으로 야기되고 있다, 반면 남성의 경우는 주로 사회적 인간관계에서 발생되는 점이 여성과 아주 대조적이다. 직장에서 승진이 누락되었거나 직장 동료로부터 부당한 대우나 심각한 갈등관계를 빚었을때 발생된다. 또한 가족과 사회로부터 부당한 손해를 받은데 대한 억울함과 분한 감정으로 생기거나 자녀의 성장에 따르는 경제적 부담감등으로 인해 발생한다. 화병은 대개 충격기를 거쳐 갈등기에 이르고 체념기와 증상기 과정을 거친다. 화병으로 인해 고통을 겪고 있는 이들이 대개 증상이 심화되면서 의산의 진료를 받고 약물치료를 받고 있으나 약물적인 복용으로서는 근본적인 치료에는 한계가 있어 상담치료를 병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과정에서 투병기와 회복기, 탈출기의 과정은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 화병의 주요 증세 화병의 증세를 가장 여실히 보여주고 있는 것이 신체화 증상이다. 신체화 증상은 두통,가슴의 통증,열이나는 증세,소변장애,어깨 통증,소화계통,장애등을 말한다. 또한 하루 대부분이 우울한 기분이고 현저하게 체증이 감소하며 불면증과 거의매일 휴식을 제대로 취하지 못한채 안절부절하는 경우가 많다. 집중력 상실과 행동이 느려지고 죽음에 대한 끊임없는 생각등 우울증 증세를 많이 보인다. 이와함께 늘 불안장애로부터 자유롭지 못한 면을 보여주고 있다.
□ 화병의 치료전략 기술
참거나 회피하지 말고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직면하는 훈련이 필요하고 본인의 느낌,생각, 의견등을 적극적으로 표현한다. 적합한 운동이나 창조적인 놀이 혹은 레크레이션요법등을 제시해서 활용할수 있게 한다. 한스러운 사건,상황이나 대인관계속에서 내담자 자신의 모습과 어떤 역할을 하고 있는지 자신에 대해 올바르게 인식한다. 또한 화병의 치료와 관련된 실제적인 적용점을 인지하는 것도 중요하다. 가족 구성원들의 구성, 가족 생활사, 가족성원들의 역할, 친밀도등을 파악한다. 가족 성원들의 신앙안에서 유대강화와 결속력 향상을 위해 종교적 배경,신앙상태,성숙도의 차이, 신앙관의 이해등을 함께 이야기해보고 신앙안에서 유대관계의 강화를 시도해본다. 화병을 호소하는 개인과 가족 성원들 사이의 감정적인 유대관계와 화병을 중심으로 생기게 된 가족환경, 문화,생활양식의 변화들을 살펴본다.
□ 분노의 유형
분노를 삭히지 못하고 표출하는 양상은 자학적, 타학적, 방향이 없는 분노등의 형태로 표출된다. 자학적인 분노는 분노를 일으키는 행동의 원인이나 책임을 나자신에게 돌리는 것으로 이때 가장 먼저 취하는 행동은 자신의 감정을 닫아 버리는 것이다. 화가나면 자신의 머리를 쥐어 뜯거나 머리를 벽에 받거나 가슴을 치거나 통곡하면서 자기를 학대하거나 비난하는 유형으로 대부분 우울증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다. 타학적인 분노는 분노의 책임을 전적으로 남에게 돌리는 경우이다. 방향이 없는 분노는 가짜 주제를 만들어 싸움을 벌이는 형태이다. 분노하는 사람의 유형은 적극적,억업형,수동 공격형의 형태를 띠고 있다. 적극적 공격형은 남의 잘못을 지적하는데 주저하지 않으며 성질이 불같아서 사소한 일에도 언제나 누군가와 싸우고 있는 것 같은 사람이다. 방향이 없이 통제하지 못하면서 화를 낸다. 자신은 분개하고 소리치고 있는데 결국 아무것도 처리된것이 없으며 화를 내는 실제적인 주제가 밝혀지지도 않은 것이 특징이다. 이럴 경우 타인의 이야기를 경청하는 법을 배우며 다른 사람들도 나와 똑같은 권리를 갖고 있으므로 나와 생각이 다르다고 해서 그들이 잘못된 것이 아님을 알아야 한다. 억압형의 경우는 스로의 삶을 발전시키고 성장시키는 일은 포기하고 결정내리는 것을 좋아하지 않으며 추종한다. 자신의 의견과 느낌을 별것 아닌 것으로 가치 절하한다.겉으로는 쾌활하고 사교적인 것처럼 보이지만 갈등을 두려워하는 까닭에 감정들을 애기하려 하지 않는다. 이에대한 치료책은 느낌과 소망에 대해 이야기하는 법을 배우며 새로운 안건, 생각,계획에 대해 열정을 보이도록 노력한다. 다른 사람과 이야기 할때 자기 주장에 대해 확신있는 말을 하도록 노력한다. 수동공격형은 침묵을 지키거나 고집을 피우거나 약속을 어기는등 소극적인 저항으로 인해 상대방의 가슴속에 분노를 더 자극한다. 직접 화를 내지 않으면서 다른사람에게 자기의 마음 상한 모습이나 한탄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또는 남을 무시하는 태도를 보인다. 이에대한 치료책은 다른사람에게 맞추어 그들을 기쁘게 하기보다는 자기자신이 원하는 대로 살아가도록 삶의 주도성을 개발한다, 분위기를 통해 공격하지 않고 자기가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마음을 열고 정직하게 말하도록 노력한다.
□ 상처난 감정들을 치료하기 위한 원리
“문제를 똑바로 직시하고 어떤 문제든지 자신에게 책임이 있다는 것을 인정하라. 고침을 받기 원하는 자신에게 스스로 물어보고 문제가운데 연관되어있는 모든 사람들을 용서하라,자기자신을 용서하라,문제의 핵심이 무엇인가를 구하라“고 명시하고 있다. 화를 다스리는 근육이완법은 주먹을 쥐었다 풀어주고 배에 숨을 들이쉬고 내쉰다. 잇빨을 꼭 물고 숨을 들이쉬고 내쉬며 눈을 감고 숨쉬기,어깨와머리목위로 들어올리면서 숨을 들이쉬고 내쉬면서 어깨 내리기,숨을 있는 힘을 다해 들이쉬고 잠시 머물렀다 내쉬기,양발과 양손을 짝퍼고 힘을 쎄게 주면서 숨을 들이 쉬었다가 숨을 내쉬면서 논과 발에 힘을 뺀다. 또한 화를 내며 다가오는 상대방에게 웃어넘기기,지연시키기,왜등 질문하기, 부인하기,감정 가라앉히기,대화중단하기,요점을 반복해서 이야기하기,과거와 현재 구분하기등의 대처방법도 활용하면 도움이 된다.
<편집·정리/이현정 기자> <기획/독서치료 관점에 본 화병의 원인과 치료 이상복 교수 초청 강의 내용 발췌> | |||
|
|||
입력 : 2007년 06월 04일 13:05:13![]()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