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복교수저
<통합절충가족치료>
저자서문
저자는 「통합절충 가족치료」이론과 임상기술을 소개하기 위해 본서를 집필하게 되었다. 저자가 1994년 상담심리학 분야로 박사학위를 취득한 후 「가족치료」박사후 과정 펠로우십 2년 전문과정을 노스웨스턴대학교 의과대학 가족치료 연구소에서 할 수 있는 계기가 주어졌다. 박사과정 중에 미국심리학회 가족심리학 분과 회장을 역임했던 Jay Lebow교수로부터 「가족치료」과목을 수강하면서 부분적으로 통합절충 기법을 배웠지만, 포스트 닥 과정에서 본격적으로 임상과 더불어 이론적 기반을 쌓게 되었다.
본서에서 소개하는 통합절충 가족치료의 주 이론가들로부터 저자는 직접 배우고 슈퍼비전을 받은 귀한 기회를 갖게 되었다. 특별히 William Pinsof, Schwartz, Breunlin교수를 중심으로 한 20여명의 교수진들과 동료 펠로우들인 정신과 의사들과 임상심리학자들과의 교류는 저자에게 통합절충 가족치료의 중심내용을 배우고 임상에 적용할 수 있는 귀중한 시간이었을 뿐만 아니라 지금까지 저자의 학문적인 네트웩과 유대를 위한 밑거름이 되고 있다.
현재 한국에서 통계적으로 8쌍 중 1쌍이 국제결혼을 하고 농어촌지역에서는 4쌍 중 1쌍이 국제결혼을 한다고 보고되었다. 이러한 다문화 가족사회를 경험하게 되면서 한국가정들은 전통적인 가족치료의 이론적 틀만으로는 평가와 진단을 수행하고 효과적인 치료를 할 수 없는 시점에 이르렀다. 그러므로 본서가 시기적으로 가족치료를 위한 임상적인 지침서로 사용되길 기대해 본다.
제1부에서는 다루고 있는 「통합절충모델들」은 최초로 한국에 소개되는 내용들로써 생소하리라 생각되지만 미국 내에서는 21세기 포스트모던시대의 대표적인 가족치료기법으로 자리매김한지가 오래되었고 저자의 스승들은 미국가족치료학회, 미국가족치료아카데미 및 미국심리학회의 가족심리학 분과 등에서 역대 회장들을 역임하면서 가족치료 분야의 역동적인 영향력을 행사해 왔다.
제2부에서는 실제 가족치료평가에 필요한 핵심 평가도구들을 설명한 후 가족치료 모델들 중에서 통합절충가족치료 모델에 빈번하게 응용되는 7가지 가족치료접근법을 간략하게 소개했다. 가족치료분야에 새로운 지평선을 열어가는 학문적이고 임상적인 지침서가 되길 소망해 본다.
'Positive Family Therapy Cent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상복교수 - 가족상담 및 치료 책이 2022년 12월 중에 공동체 출판사에서 출판됩니다! (0) | 2022.12.16 |
---|---|
긍정 가족치료 크리닉 이상복교수 긍정 심리 치료 가족치료 가족치료 교육 임상 실습 슈퍼비전 국제교류 (0) | 2015.04.23 |
긍정심리학 특강 - 행복한 부부 가정 저녀양육 - 행복한 노후 보내기 행복한 직장생활 행복특강 행복심리학 - 이상복교수특강 초청강의 (0) | 2015.03.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