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학재단/S-OIL 강의 이상복 교수(강남대): 효과적인 멘토링
효과적인 멘토링을 위한 이론과 실제
이 상 복 교수(강남대학교)
(마음의 멘토인 아브라함 링컨 대통령 생가 방문기념: 이 상 복 교수)
21세기 포스트모던 사회는 멘토링으로 진전되고 있다. 사회에서는 이미 멘토링 적용이 일반화 되어가고 있고, 기업의 경우는 45%이상이 멘토링을 적용하고 있으며, 초․ 중 ․ 고 ․ 대학교, 관공서, 은행, 공무원, 사회복지 등 다양한 곳에서 멘토링이 활발하게 적용되고 있는 상황이다.
그동안 우리의 교육의 틀은 멘토링 보다는 지식전달 차원에서 이루어졌다. 멘토링은 두 개의 단어를 잘 이해하면 쉽게 접근할 수 있다. 그 두 개의 단어는 ‘관계’와 ‘영향력’이라는 단어이다. 이 두 개의 단어를 머릿속에 잘 기억하면서 접근하면 멘토링이 무엇인지 쉽게 결론을 내릴 수 가 있다. 멘토링은 프로그램이 아니라 원리라고 할 수 있으며, 사람이 있는 곳이면 어디든지 적용이 가능하다.
1. 멘토링(Mentoring)의 정의
2. 멘토의 자질
1) 개인적인 특성들: 사회적인 성향의 성격(Prosocial Personality)
(1) 애타적인 공감능력
(2) 돌봄의 정신
(3) 사회적인 책임감
2) 역할규정과 정체성 형성
(1) 자발적인 참여
(2) 집단공동체 의식
(3) 멘토로서의 정체감: 사회적 공헌 및 사회적 네트웍
3) 멘토의 동기 및 목적의식
(1) 가치관
(2) 직업선택
(3) 사회적인 이해력 향상
(4) 자기 효능감 향상
(5) 봉사정신
(6) 자아실현
4) 멘티와의 관계설정 능력
(1) 공감(Empathy)
(2) 신뢰(Trust)
(3) 존경(Respect)
(4) 친근감
(5) 대화능력
(6) 겸허한 자세
5) 멘토의 전문적인 능력
(1) 전문지식
(2) 전문지식의 전달능력
(3) 멘티의 마음을 읽을 줄 아는 상담능력
(4) 지도력: 배려, 섬김 & 카리스마
(5) 글로벌 문화 감각
3. 멘토형 리더가 되기 위한 방법
1) 너그럽게 감싸고 감동으로 이끌어라.
2) 독서를 통해 머리를 채워라.
3) 정신적, 신체적 건강을 증진시켜라.
4) 자기를 철저히 관리하라.
5) 칭찬하고 축하하라.
4. 멘토가 갖추어야 할 스타일과 성격
▶ 훌륭한 멘토링의 예
1. 애브라함 링컨과 그래햄 6. 카라얀과 성악가 조수미 2. 허준과 유의태 7. 홍득주와 거상 임상옥 3. 한상궁과 장금이 8. 예수님과 제자들 4. 설리번 선생과 헬렌켈러 9. 바울과 디모데 5. 타이거 우즈와 부치하먼 |
5. 멘토링을 시작할 때 주의해야 할 점
6. 반드시 알아야 할 기본적인 멘토링 기술
7. 위기의 순간,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
8. 멘토링이 성공하기 위하여 필요한 것들
9. 멘토 자신을 평가하는 질문들
1) 얼마나 자주 멘티를 만나는가?
2) 만남에 대해 멘티가 거부감을 느끼는가?
3) 멘티와 함께 행하는 활동들에 대해 만족하는가?
4) 당신과 멘티 사이의 대화는 어떠한가?
5) 멘티와 정규적으로 만나는 것에 헌신할 수 있는가?
(멘토가 지쳐있지는 않는가?)
6) 멘티와의 관계 속에서 당면한 어떤 문제는 없는가?
7) 멘티와의 관계 속에서 긍정적인 면들은 무엇인가?
8) 현재 진행하는 멘토링 프로그램이 멘티와의 관계를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주는 가?
10. 멘토링의 내용: 학습지도(Tutoring)
1) 목표:
학업성취도가 낮은 학생들을 대상으로 교과과정의 내용을 효과적으로 이해하고 응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개발하도록 돕고, 학생들의 적절한 인지적이고 사회 정서적 발달과 효율적인 학교적응을 돕는다.
2) 대상:
높은 학업성취도 성취하는데 개인적으로 취약하거나 가정환경이 취약한 청소년들
3) Academically At-Risk Student (AARS)
12. Howard Gardner의 다중지능
(1) 언어적 지능(Linguistic Intelligence)
언어적 지능은 가장 많이 연구되어 온 능력으로 책 읽기, 논문, 소설, 시 쓰기, 대 화의 이해 등과 관련된 것이다.
(2) 음악적 지능(Musical Intelligence)
음악적 지능은 사람들로 하여금 소리로 만들어진 것의 의미를 이해하고 교류하고 창작해 내게 해준다.
(3) 논리-수학적 지능(Logical-Mathematical Intelligence)
논리-수학적 지능은 추상적 관계를 사용하고 평가하는 활동을 포함한다. 이 능력 의 핵심요소 중의 하나로서 수 세기를 들 수 있다. 이는 사물에 순서대로 숫자를 대응시키는 능력이다.
(4) 공간지능(Spatial Intelligence)
시각적, 공간적 정보를 지각하는 능력, 이러한 정보를 전환하고 수정하는 능력, 그리고 구체적인 자료를 다시 보지 않고도 시각적 영상을 재구성해 내는 능력들 에 고나한 것이다.
(5) 운동기능 지능(Bodily-Kinesthetic Intelligence)
이 지능과 관련된 핵심 활동은 미세한 운동기능과 큰 운동 활동은 조절, 통제하 며 외적인 사물을 조작하는 능력들이다.
(6) 개인내적 지능(Intra Personal Intelligence)
이 지능은 고통과 기쁨을 변별하는 것으로부터 시작하여 자신의 감정상태, 의도, 동기 등의 변별을 통해 깊은 자기이해에 도달하는 능력이다.
(7) 대인관계 지능(Interpersonal Intelligence)
대인관계지능은 다른 사람의 감정, 신념, 의도들을 인식하고 이해하는 능력이 중 심을 이룬다.
@멘도링 특강 문의: 강남대학교 이상복 교수 brainwork28@hanmail.net @
1) CEO 리더쉽 프로그램 및 신입사원 연수
2) Mentoring을 통한 직장내 Teamwork
3) Mentoring과 자기개발/역량강화/글로벌 리더쉽
4) 진정한 자녀교육: 멘토로서의 부모.
5) 신뢰받는 지도자상: Competent Global Leader & Men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