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화 잘 하고 싶으세요? 상담적 대화 기술: 강남대 이상복 교수
대화 잘 하고 싶으세요? 상담적 대화 기술:
강남대 이상복 교수
(강남대 상담학교수)
(1) 공감은 모든 커뮤니케이션 기술에 스며있어야 하는 하나의 가치이며 존재 양식이라는 점을 명심한다.
(2) 신체적으로나 심리적으로나 내담자가 지닌 관점에 관심을 기울이고 적극적으로 경청한다.
(3) 자기 자신의 판단과 편견을 일단 접어두고 내담자의 입장에서 생각해 보려는 노력을 아끼지 말라.
(4) 내담자가 이야기할 때 특히 핵심 메시지에 귀를 기울여라.
(5) 언어적 및 비언어적 메시지뿐 아니라 그 상황도 고려하라.
(6) 내담자의 핵심 메시지에 자주 반응하되 간결하게 하라.
(7) 내담자가 얽매여 있다고 느끼지 않도록 어떤 가정에 묶이지 말고 유연하게 대하라.
(8) 공감을 사용하여 내담자로 하여금 중요한 문제에 초점을 맞추게 하라.
(이번 가을, 멋지고 시적인 정취를 한번 느껴 보세요!!!)
(9) 민감한 주제나 감정에 대해서는 서서히 탐색하게 하라.
(10) 공감적 반응을 한 뒤에는 당신의 반응의 정확성을 확인시켜 주거나 부정하는 단서에 주의를 기울여라.
(11) 공감적인 반응으로 내담자가 초점을 계속 맞추고 있는지, 그리고 핵심문제에 대한 명료화 작업을 하는 데 도움이 되었는지를 생각해 보라.
(12) 내담자가 스트레스를 받거나 저항할 때 나타내는 단서에 주목하라. 당신의 반응이 부정확했거나 아니면 너무 정확해서 이런 반응이 나온 것은 아닌지 생각해 보라.
(13) 공감의 전달 기술이 아무리 중요하더라도 이는 어디까지나 내담자로 하여금 자기 자신과 문제 상황을 보다 분명하게 보고, 보다 효율적으로 대처하도록 하는 도구에 지나지 않는다는 사실을 명심하라.
(14) 기본적인 주요감정을 들어라. 내담자가 가장 강렬하게 이야기하는 것을 찾아라.
(15) 감정 어휘와 가능한 감정 원인에 대한 포착을 확실히 하기 위하여 “당신은... 때문에 ....게 느끼는군요.”라는 형태를 사용하도록 권한다.
(16) 과거 경험보다는 현재 경험을 반영하라.
(상대방에게 황홀감을 안겨 줄 수 있다면? 당신의 느낌도 좋으시겠지요: 이상복 교수)
(17) 기계적인 소리를 피하기 위하여 형태를 다양화하라.
-당신은 ...게 느낀다는 것처럼 들리는군요.
-아마 당신은 ...게 느끼는가 보군요.
-내가 당신이라면 나는 ...게 느낄텐데.
-그래서, 당신이 ...게 느끼고 있군요.
-내 예감으로는 당신이 ...게 느끼는 것 같군요.
(18) 내담자가 이해할 수 있는 감정단어를 사용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