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이야기·특강초청문의

[스크랩] 양성이씨 한미연합사 부사령관 이성출대장배출- 이상복교수

SangBokLee 2008. 11. 26. 21:07
"한미연합사 부사령관 이성출대장 취임 축하의 밤"에 초청합니다.

양성이씨 가문이 배출한 한미연합사 부사령관 이성출 육군대장님의 취임을 축하하기 위하여 모임을 개최하오니 여러 종친께서는 많은 의견과 동참하시기 바랍니다.

 

1. 행사 개요
 
  1) 행사명 : 한미연합사 부사령관 이성출대장 취임 축하의 밤
 
  2) 목  적 :
          양성이씨 종친으로써 탁월한 능력을 발휘하여 국가와 사회 발전에 현저하게 공헌하여 종중을 빛낸 훌륭한 인재를 현창하는데 종친이 한 자리에 모여 축하하고, 나아가 종친간에 친목과 화합을 도모하는데 목적이 있다.
 
  3) 일  시  : 2008년 6월 28일(토) 오후 4시 ~ 오후 8시(공식 행사)
 
  4) 장  소  : 수성가든 (경기도 성남시 남한산성 인근, 031-747-9937)
      - 지하철 8호선 산성역(5호선 강동역 3번 출구)에서 차로 연계시켜 드립니다.
 
 5) 참석대상 : 양성이씨 종친 누구나 (사전 예약 접수 원칙)
 
 6) 참 가 비 : 없음 (찬조금으로 추진)
 
 7) 기 념 품 : 참가자 전원에게 기념품 증정(와인 세트, 이성출대장 싸인 프로필)
 
 
2. 행사 목표 및 운영 방향
  
  1) 양성이씨들의 모임 가입회원, 양성이씨 청년회 회원, 21세기양성인회 회원, 양성이씨 종친 부부 참여 (목표 : 150명)
 
  2) 훌륭한 종친과의 교류를 통해 종친의 자긍심 고취
 
  3) 회원간 교류의장 마련 (충분한 개인소개)
 
 
3. 일 
 
    1부 : 16 : 00 ~ 17 : 00    - 기념식 개최
 
    2부 : 17 : 00 ~ 19 : 00    - 식사 및 교류의 장 (개인 인사 소개)
 
    3부 : 19 : 00 ~ 21 : 00    - 친목 도모 모임 (노래방)
 
        숙박 예약 접수 -  6월 25일까지 (지방, 수도권 포함)

 * 진행시간은 상황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구체 계획서는 카페에 첨부파일로 올려놓았습니다.) 
 
* "양성이씨들의 모임" 카페의 참석자 현황에 댓글을 통해 신청해 주십시요.
카페 이름 : 양성이씨들의 모임
카페 주소 : http://cafe.daum.net/didtjddlTl
카페 소개 : 위대한 양성이씨들이여, 꿈을 가지고 세상을 활보하여라!!! * 양성이씨의 뿌리찾기, 양성이씨 자료 제공, 양성이씨에 관한 문의 및 답변, 양성이씨 소식, 사회생활 정보 제공, 좋은글 등 *
 
양성이씨 가문은 국가가 어려울 적마다 조국을 위해  혁혁한 공을 세운 수많은
장군들을   배출해왔다 (참고: http://www.yangsung.or.kr)
 

-▶ 23세

이상신(李相信) : 1888~1957 독립운동가, 자 흥도(興道). 안성시 원곡·양성에서의 3·1운동 유공자, 7년옥고, 1977 건국포장추서 (5-147)

-▶ 24세

이영진(李泳震) : 1867~1937 독립운동가, 자 공윤(孔允). 파주 3·1 운동 발기인 19인중 주동인물 옥고1년 (3-360)
이능권(李能權) : 1864~1909 의병장, 을사보호조약 체결 후 고종이 이상설·이준을 해아밀사로 파견시 국경까지 호송, 의병장으로 강화에서 대동창의진을 창건, 왜적 200여명을 강화 선두포에서 섬멸, 수도탈환코자 한양에 잠입했다가 체포되어 순국했다. 건국훈장 국민장 추서, 강화 충렬사 배향. 대전 국립묘지 애국지사 묘역 봉안 (4-283)
이판렬(李判烈) : 1919~1945 독립운동가, 자 화백(花白). 1940~1945 고창에서의 항일독립지사 유공으로 1982 대통령표창 추서 (4-387)
이동연(李東衍) : 1881~1909 항일의사, 자 춘삼(春三). 을사보호조약 후 죽봉(竹峯) 김태원(金泰元) 의사와 함께 왜적과 싸우다가 나주 문평 동막동에서 절사했다. (4-472)
이규봉(李圭鳳) : 1873~1961 독립운동가. 자 근남(近南), 호 목천(牧川). 교육자로 3·1 만세운동시 가평지방 총 지휘자 (4-809)
이규붕(李圭鵬) : 1875~1950 독립운동가, 자 도여(圖汝). 3·1 만세운동시 가평지방에서 주도했다. (4-811)
이양섭(李陽燮) : 1881~1925 독립운동가, 자 명여(明汝). 안성시 원곡·양성에서의 3·1운동 유공자, 10년형에 7년 옥고 중 옥중 순국, 1968 건국훈장 국민장 추서 (5-129)
이현직(李鉉稷) : 1894~1930 독립운동가 정평서 항일 투사로 옥사 (5-412)
이현목(李鉉穆) : 11898~1917 독립운동가, 정평서 항일 독립투사로 옥사 (5-413)
이동선(李同善) : 1903~? 독립운동가, 정평의 항일독립투사로 체포되어 복심법원에서 4년언도 복역 (5-456)

-▶ 25세

이연열(李硯悅) : 1920~? 독립운동가, 상해임시정부에서 신익희 선생과 함께 활약, 국민훈장수여(홍원) (3-667)
이윤석(李胤錫) : 1894~1953 호 자운(紫雲). 3·1독립만세운동시 가평지방 선봉장, 옥고2년, 조선역사사건, 무궁화사건, 십자가당사건주도 옥고1년, 1977 독립유공자 대통령 표창 45300호 추서 (4-809)
이만석(李萬錫) : 1902~1950 독립운동가, 자 준석(準錫). 3·1독립만세 운동시 가평지방 주도, 1년 6개월 옥고 (4-812)
이규창(李奎昌) : 1900~1970 독립운동가, 호 성남(星南). 안성시 원곡·양성에서의 3·1운동 유공자, 3년옥고, 1977 대통령표창 추서 (5-132)

-▶ 26세

이문섭(李文燮) : 1874~1939 독립운동가, 파주 3·1운동 발기인 19인중 1인으로 독립운동 가담 (3-91)
이원행(李源行) : 1889~1939 독립운동가, 자 효중(孝仲). 보성전문 졸업 후 화성 서신 상안리에서의 3·1독립운동 유공자, 상안리 419에 3·1 독립운동기념비가 세워져 있다. (3-321)
이내기(李來冀) : 1888~1950 자 성철(聖哲). 경술합방 때 한말의병대장으로 기병, 한말 요인과 더불어 왜적을 격파하고자 원세개에서 청병, 내락을 얻고 출병하고자 하였으나 중국의 남북전쟁으로 미성공 피체, 출옥 후 애족심으로 양현여학교 창설(진천) (4-166)
이봉래(李鳳來) : 1913~? 독립운동가, 정평의 항일독립투사로 체포되어 복심법원에서 2년 6월 언도 복역 (5-445)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성출(연합사 부사령관)님의 수치 매주는 장면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동생: 이성식 해군장군

출처 : 영재교육
글쓴이 : 이상복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