긍정심리학(Positive Psycholoty)

행복훈련 십단계 Ten Steps for Happy Life 강남대 이상복교수 저서

SangBokLee 2011. 10. 1. 20:41

 <행복을 부르는 긍정심리학>(도서출판 공동체)

 

       -  Ten Steps for Happy Life -

            강남대 이상복교수 저서

 

 

Are You Happy? (행복하십니까?)

행복하길 원하시면 당신도 행복훈련이

필요합니다.

"사람은 행복하기로 결정한 만큼만 행복하다"

 -- 아브라함 링컨 --

 

 

 

 

 

 

제 2 부 - 10가지 행복훈련 매뉴얼(Ten Steps for Happy Life)

제 1장: 자아발견 -----------------------------99

1. 참 나를 찾아서 100

2. 자신의 성격 탐색하기 108

3. 인간의 이해 및 인간발달 115

4. 자신의 대표강점 발견하기 124

제 2장: 행복찾기 훈련 -------------------------129

1. 긍정심리학 개요 130

2. 진정한 행복 만들기 136

3. 행복의 조건 143

4. 긍정적 정서 152

제 3장: 희망쌓기 훈련 -------------------------165

1. 희망의 집 짓기 166

2. 낙관주의 178

3. 삶의 목표 187

4. 자기 경영하기 202

제 4장: 분노 다루기---------------------------211

1. 분노의 이해 (1-2강) 212

2. 분노의 관리 (3-4강) 221

제 5장: 화 다스리기와 용서훈련-------------------235

1. 화 다스리기 (1-2장) 236

2. 용서 프로그램 (3-4장) 251

제 6장: 탄력성/중독, 자살, 폭력으로부터의 해방-------261

1. 탄력성 262

2. 중독으로부터의 해방 272

3. 자살이해와 예방 290

4. 폭력으로부터의 해방 305

제 7장: 대인관계 훈련--------------------------311

1. 갈등 경영하기 312

2. 소통을 위한 대화 324

3. 적극적 경청하기 337

4. 공감적 대화나누기 345

제 8장: 몰입과 명상-------------------------------357

1. 몰입의 힘 358

2. 여가의 즐거움 368

3. 마음 챙김 명상 375

4. 불안 극복하기 380

제 9장: 자기효능감과 이타성 훈련---------------------289

1. 자기효능감 기르기 390

2. 직업 만족도 396

3. 이타성 훈련 (3-4장) 403

제 10장: 스트레스 관리와 사랑, 정의 키우기-------------415

1. 스트레스의 이해 416

2. 스트레스 다루기 429

3. 사랑 키우기 437

4. 정의감 키우기 443

참고도서 ---------------------------------------449]

 

본 서의 기대효과?

 

(1) 포스트모던 시대를 살아가는 자신의 진정한 모습을 탐색하고 재점검함으로써 급변하는 시대상황 속에서 자신의 하는 일에 행복감과 만족을 느끼고 자신의 임무를 창조적이고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건강하고 성숙된 인격적 성품을 함양하게 된다.

 

(2) 전인적인 참 ‘자아’를 평가하고 자신의 고착되고 습관적인 사고와 태도의 변화를 유도하여 긍정적 정서를 활성화하고 부정적 정서를 효과적으로 관리한다. 결과적으로 자신의 자아존중감이 증가되고, 정서적 위기감을 감소되며, 자신의 능력과 활력감을 증가된다.

 

(3) 전인격적인 소양과 감수성을 개발하고 조화로운 인간관계를 맺을 수 있는 인품을 함양하여 글로벌 리더로서의 자질을 갖춘다.

 

(4) 환경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처하고 저항력을 증가시키며, 사람들의 행동의 결과로부터 오는 상황을 지각하고, 배우고, 협상하는 능력을 배양시킨다.

 

(5) 자신의 대표강점을 발견하고 개발함으로써 직무 몰입도가 증가되고 주어진 직업활동에 만족도를 증가시킨다.

 

(6) 올바른 인간관과 국가관, 세계관등을 견지하고 소명의식, 이타심, 인권의식을 가지고 행동으로 실천할 수 있다.

                     (본문 서론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