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절충 가족치료
이 상 복교수저
강남대학교 출판부
구입문의: 강남대학교 출판부
(서울여자대학교 초청 특강: 강남대학교 이상복 교수)
목 차
저자서문
서론
제1부 통합절충모델의 이론과 실제
제1장 통합적 문제 중심 치료모델
(Integrative Problem-Centered Therapy: IPCT 모델)
Ⅰ. 이론적 배경 및 주요관점................................................19
1. 이론발달과정 19
Ⅱ. 주요개념..........................................................................22
1. 상호인과관계 22
2. 문제를 유지하는 가족체계에 관한 통합적 모델 23
Ⅲ. 가족평가의 원리..............................................................28
1. 통합적 가족체계 평가법 28
2. 당면문제들의 해결을 위한 평가 29
3. Pinsof 모델의 평가와 개입과정 31
4. 통합적 심리치료에 있어서 치료적 관계성 43
Ⅳ. 치료기법..........................................................................47
1. 내담자를 통제하는 기법 47
2. 초점 맞추는 대화기법 48
3. 내담자 증상 드러내기 대화기법 50
4. 직접적인 막힌 담 허물기 대화기법 51
5. 치료사의 감정 확인하고 내담자와 나누기 대화기법 54
6. 내담자들 간에 상호작용을 활성화시키는 대화기법 55
7. 부부간의 관계적 막힌 담 허물기 대화기법 57
Ⅴ. 면접기법: 사례를 중심으로..............................................59
제2장 초월구조주의 모델 (Metaframeworks)...........................75
1. 연쇄적인 패턴의 S1-S4 파악하기 80
2. 치료가설 세우기(Hypotheszing) 86
3. 치료계획 세우기(Planning) 88
4. 치료적 대화 나누기 94
5. 피드백 읽기 100
6. 가족치료에의 적용 102
7. 성 초월구조주의 109
제3장 내적가족체계 모델..............................................................111
(Internal Family Systems Therapy)
1. IFS 모델의 주요개념 114
2. IFS 모델에서 본 가족에 대환 관점 119
3. 가족치료사의 치료적 역할 127
4. 상담과정 129
제2부 가족치료이론
제4장 가족평가..............................................................................145
1. 가족생활주기에 따른 평가 148
2. 가계도에 따른 평가 154
3. 서컴플렉스 모델 161
4. Beavers 모델 165
5. 맥매스터(McMaster) 모델 169
6. Moos의 가족환경영역 175
7. 달링톤의 가족사정 체계 177
제5장 가족치료 이론의 발달과정과 주요개념
Ⅰ. 가족치료 이론의 발달과정..................................................185
Ⅱ. 가족치료 이론의 주요개념..................................................190
1. 일반체계이론 190
2. 사이버네틱스 192
3. 항상성 193
4. 가족생활주기 193
5. 경계 194
6. 의사소통 195
7. 해결에 초점두기 196
8. 가족치료 접근의 단위 196
9. 가족치료를 위한 치료체계 196
제6장 보웬의 원가족 가족치료
Ⅰ. 이론적 배경과 발달과정............................................................202
Ⅱ. 주요개념....................................................................................204
1) 자아분화 204
2) 삼각관계 206
3) 핵가족 정서체계 207
4) 가족투사과정 208
5) 다세대 전수과정 208
6) 출생순위 209
7) 정서적 단절 209
8) 사회적 정서과정 210
Ⅲ. 치료목표....................................................................................210
1) 1차 목표 210
2) 2차 목표 211
Ⅳ. 치료기법....................................................................................211
1) 치료자의 조건 211
2) 치료자의 주요기능 211
3) 치료기법들 211
제7장 구조적 가족치료
Ⅰ. 이론적 배경과 발달과정...................................................218
Ⅱ. 주요개념...........................................................................220
1. 가족구조 221
2. 가족의 하위체계 221
3. 경계선 222
Ⅲ. 치료목표와 치료자의 역할................................................225
1. 치료목표 225
2. 치료사의 역할 225
Ⅳ. 치료기법...........................................................................227
1) 합류를 위한 기법 227
2) 재구조화를 위한 개입 기법 228
제8장 전략적 가족치료
Ⅰ. MRI 모델..........................................................................234
1. 발달과정 234
2. 치료목표 235
3. 주요개념 236
4. 치료기법 236
Ⅱ. Haley의 전략적 가족치료 모델........................................238
1. 이론적인 토대와 철학 238
2. 주요개념 242
3. 치료기법 245
Ⅲ. Milan의 체계적 가족치료 모델.........................................247
1. 이론 발달과정 248
2. 이론적 토대와 철학 249
3. 치료목표 250
4. 치료과정 251
5. 치료사의 역할 253
6. 치료기법 254
제9장 의사소통 가족치료
Ⅰ. 이론적 배경과 발달과정...................................................264
Ⅱ. 주요개념...........................................................................265
1. 자아존중감과 자아가치 266
2. 가족체계 266
3. 의사소통 유형 267
Ⅲ. 치료목표 및 치료사의 역할..............................................269
1) 치료목표 269
2) 치료사의 역할 271
Ⅳ. 치료과정...........................................................................271
Ⅴ. 치료기법...........................................................................274
1) 재정의(reframing) 274
2) 가족조각 274
3) 원가족 지도 275
4) 역할극 277
5) 가족의 재구조화 277
6) 가족그림 277
7) 의사소통 입장 277
8) 가족인형극 278
9) ‘나’의 표현 278
10) 가족 밧줄놀이 278
제10장 인지행동주의 가족치료
Ⅰ. 이론적 배경과 주요인물...................................................282
1. 이론적 배경 282
2. 주요인물 287
Ⅱ. 주요개념...........................................................................290
1. 기본원리 290
2. 기본가정 290
3. 기본개념들 291
Ⅲ. 치료목표 및 치료사의 역할..............................................301
1. 치료목표 301
2. 치료사의 역할 302
Ⅳ. 치료기법...........................................................................303
제11장 해결중심 가족치료
Ⅰ. 이론적 배경과 발달과정...................................................318
Ⅱ. 기본원리 및 주요개념.......................................................319
Ⅲ. 치료과정과 주요 치료기법................................................322
1. 치료사와 내담자의 관계유형 322
2. 목표설정 325
3. 치료를 위한 질문기법 328
4. 해결책의 구축 331
Ⅳ. 내담자를 위한 피드백 작성..............................................334
Ⅴ. 첫 회 이후의 상담............................................................338
1. 무엇이 나아졌습니까? 338
2. 같은 것을 더하기 340
3. 척도화 340
4. 그 다음 단계 340
5. 종결 340
6. 자문을 위한 휴식시간 341
7. 피드백-칭찬, 연결문, 과제 341
제12장 이야기 가족치료
Ⅰ. 이론적 배경과 발달과정...................................................345
1. 이론의 발달배경 346
2. 이론적 토대와 철학 348
3. 문제에 대한 관점 350
Ⅱ. 치료목표와 치료자의 역할................................................350
1. 치료의 목표 350
2. 치료사의 역할 351
Ⅲ. 치료기법...........................................................................352
1. 입장지도 352
2. 표출대화 353
3. 독특한 결과 (Unique Outcomes) 356
4. 인정예식 (Definitional Ceremony) 357
5. 재저작 (Re-authoring) 357
6. 외부증인그룹 (Outside Witness Group) 358
7. 치료적 문서들 (Therapeutic Documents) 359
Ⅳ. 치료과정...........................................................................359
<서문> 중에서: 이 상 복 교수
21세기는 포스트모더니즘의 영향으로 다원화된 가치 속에서 살고 있으며 여러 가지 다양한 문제들을 가지고 있다. 이로 인해 파생되는 가족문제의 양상 또한 매우 다양하다. 가족이 하나의 사회체계로서 가장 중요하고 소중하다는 건 어느 사회에서든지 통념으로 되어 있다. 하지만 지금 우리가 사는 포스트모던 시대는 유래를 찾아보기 어려울 만큼 급속하고 광범위한 발달로 가족의 기능도 위협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소개되어진 가족치료이론은 매우 다양하다. 하지만 각 이론은 현실의 한 면만을 나타내고 있다. 게다가 가족치료사 각자가 추종하고 옹호하는 학파가 있어 특정한 가족치료이론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치료사는 다른 이론을 수용하려고 하지 않는 경향이 있었다. 최근 많은 연구들을 보면 모든 정신건강 전문가들이 특정학파를 고수하지 않고 보다 절충적인 관점이나 통합적인 관점으로 나아가고 있음을 시사해준다(Young, 1992). 가족치료의 동향을 보아도 실제 1990년대에 들어서면서 많은 변화를 가져오게 되었는데 21세기에 접어들면서 그 다양성과 복잡성 때문에 통합이라는 과제가 지배적인 조류를 타고 있다. 이러한 포스트모던 시대에 가족치료에 있어서도 가장 핵심적인 단어가 ‘통합’과 ‘절충’이라고 볼 수 있는데 이 두 단어를 절절히 혼합한 것이 통합절충 가족치료라고 할 수 있다. 많은 가족치료사들은 어떻게 하면 기존의 다양한 가족치료 접근법을 통합할 수 있을 것인가에 직면하게 되었다. 사실 지난 20년동안 미국에서는 심리치료사들이 통합적 절충 비법에 관해 많은 관심을 가져왔다. 하지만 초기단계에서 심리치료사들은 주요한 다양한 학파들로부터 도피하는 경향을 지녔으나 통합적 절충 치료모델이 학술적으로 체계화 되지 않았었다.
필요성은 분명히 인식했지만 적절한 모델을 찾지 못하는 상황에서 노스웨스턴 대학교 내의 가족치료연구소의 다양한 학자들이 새로운 임상적 방법론들을 제시하게 되었다. 통합절충 이론은 이러한 시대적 요청에 발맞추어 개발된 모델로 여러 학자들의 접근법들이 다양하나 여기에서는 저자의 스승인 노스웨스턴 대학교의 가족치료연구소 소장인 William Pinsof와 그의 동료들에 의해 과거 20여년간 개발된 IPCT모델(Integrative Problem-Centered Therapy)과 노스웨스턴 대학교의 Breunlin팀의 구조 초월적 모델(Metaframeworks) 그리고 Schwartz의 IFS 모델(Internal Family Systems Therapy)이 근간을 이룬다.
Pinsof의 IPCT모델은 주로 전략적 가족치료법을 유지하면서 전체 다른 접근법들을 가미시켜서 감정을 탐색하고 표현하도록 돕는 기법을 사용한다. 가족의 가치가 급변하는 21세기에 가장 유용한 임상적 효용성이 입증된 치료기법으로서 미국 가족치료 학계의 지도자적 역할을 하는 Pinsof에 의해 보완된 모델이다. 그리고 Breunlin팀은 다른 가족치료 학파들을 총 망라하여 주요개념들을 선택하여 그것을 초월적인 원칙에 연결하는 기법을 사용한다. Schwartz의 IFS모델은 다른 학파의 한계에 부딪히면서 생겨난 이론적 기반을 부부이론에 두고 있는 모델로 응집적이고 지속적이며 많은 다른 접근법들을 이해하기 위한 틀을 제공해주고 있다.
가족치료는 개인은 물론 가족과 사회적 상황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사건들을 다루어야만 한다. 따라서 무엇보다도 치료 접근방법이 확실해야만 한다. 이러한 접근방법의 근저가 되는 것을 이론이라고 할 수 있는데 현 시대적 상황에서 한 이론에만 치우치지는 것은 한계에 부딪힐 수밖에 없다고 본다. 따라서 각 가족치료 이론들을 살펴보고 통합적 과정을 통하여 자신의 가치와 자질에 맞는 이론체계를 개발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이 책이 이러한 과정에 많은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기존의 가족치료 책들의 가족치료 학파별 이론 소개에 치중하는 범위에서 벗어나 무엇보다도 활용가치에 중점을 두고자 하였다. 보다 임상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각 학파의 장점들을 잘 용해해서 내담자에게 적합한 이론들을 탄력성 있게 사용할 수 있도록 보완하고자 하였다.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굴 지식검색 Knol에 강남대 이상복교수 수월성교육 논문 수록 (0) | 2009.04.29 |
---|---|
행복한 부부관계 세미나 의뢰: 강남대 이상복교수(괴산음성진천증평) (0) | 2009.04.29 |
강남대 이상복교수 근황(괴산음성진천증평): 인사올립니다!!! (0) | 2009.04.26 |
[스크랩] 작지만 강한 대학 세계의 리틀 아이비리그 (0) | 2009.04.22 |
녹색성장 시대에 환경 신학?:강남대 이상복교수 기고(진천음성괴산증평) (0) | 2009.04.19 |